본문 바로가기

한국복식 이야기

(8)
조선 여인의 예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23 10:44:0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한국인의 편백포 한국복식 이야기2012-10-07 00:23:0 14. 한국인의 편복포 * 포 (표의) - 유(저고리), 보편적인 의복으로 삼국에서 통용, 방한과 의례의 목적으로 착용 * 조선왕조 편백포 - 철릭, 직령, 도포, 창의, 주의 1. 상대사회의 포 - 포의 발생 : 고구려기후의 적응성, 의례적인 요소 - 형태 : 직령교임식, 선을 둘렀고 띠를 맴 - 상류 : 대수포 - 하류계급 : 착수포 - 직령으로 이행 → 주의, 즉 두루마기됨 2. 고려의 포 - 기본포제 : 백저포 ( 왕 → 조건+ 백저포 ) 3. 조선시대의 포의 양상 1) 철릭 (융복의 기능_군복) - 형태 : 상의하상식 : (치마에 주름) - 교외동가 때 문무관이 입은 편복 2) 직령 - 단령에 대하는 말 / 곧은깃의 포 / 편복의포 - 고려의 백저포 유래 → 조선의 직령 (착수→광수) - 사대부..
조선 여인의 예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23 10:44:00 11. 조선여인의 예복 1. 조선시대 예복 □ 적의, 원삼, 활옷, 당의 현재 혼례용 원삼은 궁중예복의 하나. - 황후- 황원삼, 왕비 - 홍원삼, - 활옷- 상류층예복 후에는 서민층혼례복 사용 - 적의- 왕비의 법복, 대홍색의 적의 - 당의- 간이 예복, 소례복 평복 위에 착용 □ 왕비의 법복(대례복)인 적의 1. 임진왜란 전 적의 : 명, 증여 받은 군왕비 예복 2. 임진왜란 후의 적의 : 대홍색․섶선이 여며지 않음- 뒤가 길다- 수원적 51개 붙힘 3. 국말(조선 말) 적의: 심청색, 적문12줄 깃, 도련 수구 홍색선 댄다 *폐슬 : 적의 착용 후 대대에 걸어 무릎을 가리는 의식용 가리개 2 원삼의 양태 □ 왕비의 상복(常服)으로 노의, 장삼, 국의, 원삼 등 주로 대수포 (大袖袍) 들로서 원삼으로..
조선시대의 왕복과 서민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18 02:43:22 8. 조선시대의 서민복과 왕복 1) 왕복의 종류- 대례제복(면류관, 곤복), 조복(원유관, 강사포), 상복 (익선관, 곤룡포) 연거시(편복), 국난 시(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 [면복) 왕을 상징하는 십이장문/ 종묘, 사직 참례할 때, 제사 때 착용 면복 - 면복의 유래 ․후한대: 대례, 제복으로 완성 .전례의 상징, 선왕의 권위, 군왕의 표신 ․당대 이후: 주변 국가들이 제왕의 관복으로 인식 1. 면류관․ 상징-면류: 밝음을 가리기 위함- 귀 밝음을 막기 2. 곤복 - 십이장문(황제) 3. 조복 - 원유관, 강사포- 경축, 국관사관 회동 4. 상복 - 익선관, 곤룡포- 일상의 업무 때 5. 편복 - 국속의 저고리, 바지 및 포로서 답호, 철릭 등 착용 3) 조선시대의 서민복 * 서민 남자복..
고려시대 남자 복식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1:09:44 6. 고려시대의 남자 복식 1. 고려의 복식 - 고려전기(송) : 사색공복제도개방 외교정책 - 고려후기(원) : 몽고복식과의 접근(호복계통) - 고려말기(명) : 친명정책( 2등 체강, 고려에 줌) 2. 왕복 - 제복: 면복은 제사를 지낼 때 착용. 후에 대례면복으로 됨 - 조복: 왕이 나라의 백관, 사, 민 접견 시 복장 - 오사고모, 담황색의 포, 늑건 * 고려후기 - 원의 질손 - 원 침략기 착용 * 고려말기 - 중국제의 원유관, 강사포 - 공복(公服) : 중국사신을 맞이할 때 - 상복(常服): 평상시 집무를 볼 때 - - 편복(便服): 일반서민과 같이 조건, 백저포 3. 백관복 -제복(祭服): 종묘사직의 제사를 지낼 때 (-조복 -공복 -상복)있다 4. 민서남복 :남자 민서복의 기본은 포,유,고로..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0:31:01 4.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 1) 상대 이식의 형태, 양식, 제작기술 늘어지는 수식 부분, 귓불에 꿰는 굵기에 따라 세환과 태환으로 귓볼에 닿는 접이 부분으로 나눔 * 제작기술의 특징 1. 영락식 : 소편을 꼬아 만든 금선에 매담, 흔들면 금색이 번쩍, 단조로움에 효과 2. 세금세공 : 금립, 가느다란 금선, 금선을 도안화하여 정교한 조각적 효과 3. 소원배식 : 금판에 내곡면을 지어 금색이 반사되는 효과를 꾀한 수법 4. 보옥식 : 금의 강렬한 광채에 옥의 부드러운 색조를 가하면 보식미는 한층 증가 5. 도금 : 금속금구의 표면에 얇게 밀착 6. 첩금 : 금구의 표면에 첩부하는 방법 2)이식 이외의 몸치레 1. 경식: (목걸이)경식에 연결된 흉식을 패용 - 신라 2. 천: (팔찌) 고대인 약속을 지킴 -..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0:31:01 4.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 1) 상대 이식의 형태, 양식, 제작기술 늘어지는 수식 부분, 귓불에 꿰는 굵기에 따라 세환과 태환으로 귓볼에 닿는 접이 부분으로 나눔 * 제작기술의 특징 1. 영락식 : 소편을 꼬아 만든 금선에 매담, 흔들면 금색이 번쩍, 단조로움에 효과 2. 세금세공 : 금립, 가느다란 금선, 금선을 도안화하여 정교한 조각적 효과 3. 소원배식 : 금판에 내곡면을 지어 금색이 반사되는 효과를 꾀한 수법 4. 보옥식 : 금의 강렬한 광채에 옥의 부드러운 색조를 가하면 보식미는 한층 증가 5. 도금 : 금속금구의 표면에 얇게 밀착 6. 첩금 : 금구의 표면에 첩부하는 방법 2)이식 이외의 몸치레 1. 경식: (목걸이)경식에 연결된 흉식을 패용 - 신라 2. 천: (팔찌) 고대인 약속을 지킴 -..
한국복식의 원류한국복식 이야기2012-09-06 22:20:05 1. 한국복식의 원류 1.한국의 상대복식 * 인종: 북방계 몽고인종* 언어:알타이어계*북방계, 유목문화,기마수렵 생활 (부여,고구려) * 복식: 바지, 저고리가 고유복식(중국-호복) 2. 한국의 복식 특성 (전통성유지) - 삼국시대 : 고유의 민족복장이 형성되는 시기. - 통일 신라: 당의 단령 채용, 이중구조 나타남 기본구조 / 전통성 유지(바지, 저고리)복식 3. 일본의 복식 특성(순응성) -원시시대 : 관두의, 횡폭의(남방) -중국의 단령 ; 일본 풍토에 순응, 새로운 양식:기모노 4. 중국복식의 특성 (정권에 따라 바뀜) - 주 : 포(,심의) -상의하상(위아래가 붙은 옷), - 조 : 고습( 호복) 도입 * 단령도입 - 당 ․ 송 : 단령→상하의 상복 - 원 : 몽골계 질손을 주로 입음 (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