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복식 이야기

(9)
오방색 퓨전 한복 오방색 퓨전한복 지금봐도 구성이 너무 좋다 ? 2008년 11월 패션 컨테스트에서  대상받은 자료 사진이다. 이메일 정리하다보니 보내고 받은 자료가 있었다 동아리명으로 5명이 함께 디자인 구성하고 염색하고 노력과 정성을 많이 들였던 작품이다. 그때는 천연염색을 모를 때였다 한분이 천연염색에 조예 깊은 분이 계셨고, 또 한 사람은 규방공예, 본인은 의류와 관련된  일을 그리고 두사람은 열정 자체였다. 순조롭게 진항되었고, 후에 학교에 기증했다. 시간이 허락되면  재구성해서  재현하고  싶은데  모르겠다.
조선 여인의 예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23 10:44:0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한국인의 편백포 한국복식 이야기2012-10-07 00:23:0 14. 한국인의 편복포 * 포 (표의) - 유(저고리), 보편적인 의복으로 삼국에서 통용, 방한과 의례의 목적으로 착용 * 조선왕조 편백포 - 철릭, 직령, 도포, 창의, 주의 1. 상대사회의 포 - 포의 발생 : 고구려기후의 적응성, 의례적인 요소 - 형태 : 직령교임식, 선을 둘렀고 띠를 맴 - 상류 : 대수포 - 하류계급 : 착수포 - 직령으로 이행 → 주의, 즉 두루마기됨 2. 고려의 포 - 기본포제 : 백저포 ( 왕 → 조건+ 백저포 ) 3. 조선시대의 포의 양상 1) 철릭 (융복의 기능_군복) - 형태 : 상의하상식 : (치마에 주름) - 교외동가 때 문무관이 입은 편복 2) 직령 - 단령에 대하는 말 / 곧은깃의 포 / 편복의포 - 고려의 백저포 유래 → 조선의 직령 (착수→광수) - 사대부..
조선 여인의 예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23 10:44:00 11. 조선여인의 예복 1. 조선시대 예복 □ 적의, 원삼, 활옷, 당의 현재 혼례용 원삼은 궁중예복의 하나. - 황후- 황원삼, 왕비 - 홍원삼, - 활옷- 상류층예복 후에는 서민층혼례복 사용 - 적의- 왕비의 법복, 대홍색의 적의 - 당의- 간이 예복, 소례복 평복 위에 착용 □ 왕비의 법복(대례복)인 적의 1. 임진왜란 전 적의 : 명, 증여 받은 군왕비 예복 2. 임진왜란 후의 적의 : 대홍색․섶선이 여며지 않음- 뒤가 길다- 수원적 51개 붙힘 3. 국말(조선 말) 적의: 심청색, 적문12줄 깃, 도련 수구 홍색선 댄다 *폐슬 : 적의 착용 후 대대에 걸어 무릎을 가리는 의식용 가리개 2 원삼의 양태 □ 왕비의 상복(常服)으로 노의, 장삼, 국의, 원삼 등 주로 대수포 (大袖袍) 들로서 원삼으로..
조선시대의 왕복과 서민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18 02:43:22 8. 조선시대의 서민복과 왕복 1) 왕복의 종류- 대례제복(면류관, 곤복), 조복(원유관, 강사포), 상복 (익선관, 곤룡포) 연거시(편복), 국난 시(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 [면복) 왕을 상징하는 십이장문/ 종묘, 사직 참례할 때, 제사 때 착용 면복 - 면복의 유래 ․후한대: 대례, 제복으로 완성 .전례의 상징, 선왕의 권위, 군왕의 표신 ․당대 이후: 주변 국가들이 제왕의 관복으로 인식 1. 면류관․ 상징-면류: 밝음을 가리기 위함- 귀 밝음을 막기 2. 곤복 - 십이장문(황제) 3. 조복 - 원유관, 강사포- 경축, 국관사관 회동 4. 상복 - 익선관, 곤룡포- 일상의 업무 때 5. 편복 - 국속의 저고리, 바지 및 포로서 답호, 철릭 등 착용 3) 조선시대의 서민복 * 서민 남자복..
고려시대 남자 복식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1:09:44 6. 고려시대의 남자 복식 1. 고려의 복식 - 고려전기(송) : 사색공복제도개방 외교정책 - 고려후기(원) : 몽고복식과의 접근(호복계통) - 고려말기(명) : 친명정책( 2등 체강, 고려에 줌) 2. 왕복 - 제복: 면복은 제사를 지낼 때 착용. 후에 대례면복으로 됨 - 조복: 왕이 나라의 백관, 사, 민 접견 시 복장 - 오사고모, 담황색의 포, 늑건 * 고려후기 - 원의 질손 - 원 침략기 착용 * 고려말기 - 중국제의 원유관, 강사포 - 공복(公服) : 중국사신을 맞이할 때 - 상복(常服): 평상시 집무를 볼 때 - - 편복(便服): 일반서민과 같이 조건, 백저포 3. 백관복 -제복(祭服): 종묘사직의 제사를 지낼 때 (-조복 -공복 -상복)있다 4. 민서남복 :남자 민서복의 기본은 포,유,고로..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0:31:01 4.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 1) 상대 이식의 형태, 양식, 제작기술 늘어지는 수식 부분, 귓불에 꿰는 굵기에 따라 세환과 태환으로 귓볼에 닿는 접이 부분으로 나눔 * 제작기술의 특징 1. 영락식 : 소편을 꼬아 만든 금선에 매담, 흔들면 금색이 번쩍, 단조로움에 효과 2. 세금세공 : 금립, 가느다란 금선, 금선을 도안화하여 정교한 조각적 효과 3. 소원배식 : 금판에 내곡면을 지어 금색이 반사되는 효과를 꾀한 수법 4. 보옥식 : 금의 강렬한 광채에 옥의 부드러운 색조를 가하면 보식미는 한층 증가 5. 도금 : 금속금구의 표면에 얇게 밀착 6. 첩금 : 금구의 표면에 첩부하는 방법 2)이식 이외의 몸치레 1. 경식: (목걸이)경식에 연결된 흉식을 패용 - 신라 2. 천: (팔찌) 고대인 약속을 지킴 -..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0:31:01 4. 상대 한국인의 몸치레 1) 상대 이식의 형태, 양식, 제작기술 늘어지는 수식 부분, 귓불에 꿰는 굵기에 따라 세환과 태환으로 귓볼에 닿는 접이 부분으로 나눔 * 제작기술의 특징 1. 영락식 : 소편을 꼬아 만든 금선에 매담, 흔들면 금색이 번쩍, 단조로움에 효과 2. 세금세공 : 금립, 가느다란 금선, 금선을 도안화하여 정교한 조각적 효과 3. 소원배식 : 금판에 내곡면을 지어 금색이 반사되는 효과를 꾀한 수법 4. 보옥식 : 금의 강렬한 광채에 옥의 부드러운 색조를 가하면 보식미는 한층 증가 5. 도금 : 금속금구의 표면에 얇게 밀착 6. 첩금 : 금구의 표면에 첩부하는 방법 2)이식 이외의 몸치레 1. 경식: (목걸이)경식에 연결된 흉식을 패용 - 신라 2. 천: (팔찌) 고대인 약속을 지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