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개항기 이후의 복식
1. 복식 변천의 요인
․ 첫째-실학, 진보사상의 대두
. 둘째-사회체제의 전면적인 변화와 개혁
. 세째-정치, 경제의 개편, 문화적. 사상적 일대변혁기 - 봉건적인신분제 도, 가족제도, 관료의사회적
. 넷째-신 교육급, 특권붕괴
※서양문물 도입기 되면서 복식에도 많은 변화
2. 남자복식의 변천
* 복제개혁 / 사회적 변혁기 지나면서 - 군복(구미식 군복)
- 문관복(착수흑단령 →흑색주의+답호 →주의 →양복)
* 사복의 변천: 도포, 창의) →착수주의로 변하여 차별 없이 모두 사복으로 주의가 정착. 양복 착용.
* 남자복식
․ 두식 - 단발령으로 상고머리
. 양모 - 파나마, 맥고, 중절모자
․ 의복 - 속적삼, 내고의→셔츠, 팬티
․ 이류 - 고무신, 서양식 단화
3. 여자복식의 변화
* 신문과 언론의 역할 신교육 보급, 정부정책 변화
* 계급타파 - 내외법(남존여비사상), 과부 개가금지법에서 해방
* 여권신장 - 남녀평등(교육, 사회운동 참여)정치적. 정신적 개화, 신여성(기독교)운동
* 여자복식은 한복개량과 양장의 착용.저고리는 길어지고 치마는 짧고 통치마
* 1895년 - 여성양장 (일본, 미국) -고관부인
* 1906년 궁중의 엄비& 외교관부인- 박에스더 .유학생들이 먼저 착용
* 1920년: : 윤고려
여자 두식
* 1920 - 챙머리 (팜프도어)
* 1930 - 단발 1937 파마 유행(1920 미장원생김) 수식도 리본, 머리핀, 숄 로 바뀌어 애용
20. 한국복식의 미적 특성과 상징성
1. 일반 복식의 미적 특성을 기초로 한 한국복식의 미적 특성
1) 일반복식의 미적 특성
․조형성 - 인체와 주위환경 - 인간 보편의 미적 기준의한 일반적인 법칙, 통일, 균형, 비례, 조화
․ 표현성 - 인간 내면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기능
. 형태성 - 드레이프(동적미), 면(권위표현), 형태의 대비, 장식
. 색채성 - 상징효과(감각), 착용자의 신분계급
. 문양 - 생기 부여, 민족정신
․ 사회성 - 문화적 사상을 결정- 정신적 기반의 원천
- 인종의 요인:고유 민족성, 신체의 특성
- 환경의 요인: 자연적, 사회적, 정신적 환경
- 시대의 요인: 종족과 환경 사이에서 생산, 형성
․ 창조성 - 기술과 창조를 본질로 하여 인간과 의복이 어울리도록 미적 가치를 창조 실현
2) 상대복식의 시원 (始源)과 기능미
․ 인종 - 북방계 몽고인종
. 문화 - 북방계 (알타이계)
․ 생활양식 - 북방계 유목민족의 공통된 생활양식인 기마 수렵 생활
(예) 부여계(고구려): 호전적 기질
․ 복식: 북방계 복식 (알타이계)에서 출발 ※사회성: 기후, 풍토, 민족성, 생활양식
3) 고구려 벽화의 의복
․ 남자: 바지, 저고리, 띠, 수건이나 절풍, 화
․ 여자: 바지, 저고리, 치마(선: 의례가 있을 경우) 단정한 아름다움(선장 식)
․ 고구려의 의복미: 활동적이고 기능적인 아름다움, 선명
4) 신라의 고분에서 출토된 장신구
․ 세계에서 독보적인 수준인 황금세공(디자인, 제작기술)
․ 이식: 정교한 세공의 섬세하고 우아한 미
․ 금관: 황각식, 금공미, 정적미. 동적미로 인한 씩씩하고 장엄한 미
. 과대와 요패의 찬란한 멋 ․ 식옥 풍습의 차분한 미
2. 근대 복식의 형성과 표현미
․ 조선조 : 전통적인 고유양식 정착, 한국고유의 민족성 반영(현재의 의복으로 발전 정착)
․ 유교사상 - 현실주의 : 부귀,장수,자손번창
- 자연주의 : 소박하고 꾸밈없는 마음
․ 봉건적 사회제도 - 남자 : 신분계급의 엄격
- 여자 : 남존여비 -유교의례적 요소
. 무속 의례적 요소 : 맺히고 닫힌 삶을 풀이
․ 표현미 - 남복(선비): 조선시대 대표적인 남성상
- 호탕한 풍류, 청렴결백
- 의를 위한 절개
- 흰색 도포, 검은 갓
․ 조형미 - 여복[혜원의 풍속화]
- 선정적인 자세( 짧은 저고리, 긴치마), 우아한 자태(구름같이 얹은머리) 율동적인 자태)
. 이율배반적인 미
- 한복의 단순한 형태의 조형미
- 다양한 연출의 창작미
- 쓰개를 착용한 은폐미
- 에로틱한 노출미
3. 한국복식의 상징성
1) 백의(白衣)의 상징성 ,백의 숭상․백의민족, 동방예의지국 .
- 태양을 하늘님으로 숭배, 태양의 광명을 흰 빛을 신성하게 여김
- 민족성: 청백을 좋아하는 기질(외적요소)
- 백색의 상징성 → 한국 민족의 기질 표현
2) 수의 (繸衣)의 상징성
- 긍정적 의미: 성장하고 수의 제작
- 부정적 의미: 윤달(우주밖의 시간 상징)에 제작
* 아침에 시작하여 하루 해 안에 완성
* 꿰매는 실 도중에 잇지 않음(돌아가는 길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 한 신성 상징.
출처 - 백영자 외 『한국복식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의복구성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류관리와 소비 2012-12-12 00:49:30 (0) | 2023.09.29 |
---|---|
트랜드에 따르는 소재 분류 &감성이미지에 따른 소재 분류의류소재 이야기2012-11-09 23:11:40 (0) | 2023.03.28 |
한국의 직물과 염채 한국복식 이야기2012-10-09 20:43:29 (0) | 2023.03.28 |
직물의 구조 이야기의류소재 이야기2012-10-08 21:48:31 (0) | 2023.03.28 |
천연섬유 이야기의류소재 이야기2012-09-25 00:06:33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