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35)
옷감의 구성과 성능의류소재 이야기2012-09-18 18:44:28 1. 섬유 : 섬유는 가늘고 긴 물질 (hairlike material)이다 의류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폭과 길이의 비가 일정한 길이와 적절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섬유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만들어진 실과 옷감의 성능이 변화한다 2. 실 : 섬유가 모여 이루어진 집합체 실은 섬유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만들어진 실의 특성이 달라지고 직물용 원료실 등은 yarn으로 나타내고 thread는 꼬임을 주어 만든 실의 완성품 즉, 재봉사 등을 나타냄 3. 옷감 : 실, 섬유, 원료중합체로 만든 모든 형태의 천으로 직물, 편(성)물, 레이스, 가죽, 필름 등을 모두 포함 4. 옷감의 종류 섬유의 성질은 구조와 형태에 따라 변화하며 여러 특성이 옷감의 성능에 복합적으로 관여하며, 크게 천연섬유(셀룰로스섬유와 ..
2011 전주 국제 친환경소재 ECO패션 전시회 이모저모 - 2011.11나의 이야기2012-09-18 12:10:55 참가국의 전시회 작품 ** 전양배 한지의상연구소 - 전양배선생님의 작품** 한지로 제작한 전통복식입니다 전라북도 부지사님, 전주 패션협회 초대 회장님, 패션협회 회장 김태년교수님께서 친환경소재와 천연염색에 대해 깊은 관심을 주셨습니다 천연염색육성 사업단의 최미성 단장님, 목련공방 대표 내외분과 함께.. 그리고 오픈 포퍼먼스 '애코! 한-한-한'의 아리랑 노래에 맞추어 모두 한 줄의 띠를 잡고 한마음이 되어 참여했지요
조선시대의 왕복과 서민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18 02:43:22 8. 조선시대의 서민복과 왕복 1) 왕복의 종류- 대례제복(면류관, 곤복), 조복(원유관, 강사포), 상복 (익선관, 곤룡포) 연거시(편복), 국난 시(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 [면복) 왕을 상징하는 십이장문/ 종묘, 사직 참례할 때, 제사 때 착용 면복 - 면복의 유래 ․후한대: 대례, 제복으로 완성 .전례의 상징, 선왕의 권위, 군왕의 표신 ․당대 이후: 주변 국가들이 제왕의 관복으로 인식 1. 면류관․ 상징-면류: 밝음을 가리기 위함- 귀 밝음을 막기 2. 곤복 - 십이장문(황제) 3. 조복 - 원유관, 강사포- 경축, 국관사관 회동 4. 상복 - 익선관, 곤룡포- 일상의 업무 때 5. 편복 - 국속의 저고리, 바지 및 포로서 답호, 철릭 등 착용 3) 조선시대의 서민복 * 서민 남자복..
감물염색 이야기 3. - 2011.7라온 염색 이야기2012-09-18 02:04:12 감물 무늬염 예쁜 색을, 원하는 색을, 무늬를 얻기 위해서 더워도 어쩔 수 없는 시간이 있어요 그래서 웃으려고 귀여운 모습을 했어요 (7월 하순)
감물염색 이야기 2. -2011.7라온 염색 이야기2012-09-18 02:02:52 발색을 위해 물을 뿌렸더니 형태가 조금 흐트려져서 손질하고 있어요 그런데 너무 더웠고, 더운 날씨가 화근이 되어 일광에 의한 화상이라고 병원에서 진단이 나왔어요-_-:: 7월 하순에....
감물염색 이야기 1. 2011.7라온 염색 이야기2012-09-18 02:00:35 입주해 있는 나주 천연염색 사업단에서 호피무늬, 대리석무늬, 회오리바람 무늬를 만들기 위해 잔디밭에서 햇볕을 받고 있어요. 비가 오거나 비가 온다고 하면 온실에 널어요.... 생각보다 발색이 잘되요
나의 이모저모 나의 이야기 2012-09-14 03:18:001. 1. 퓨전 한복- 교내 의상 컨데스트에서 5인 공동 제작으로 대상을 (천연염색 오방색으로 제작) 받았던 작픔이다 2. 나머지 사진은 박람회 , 전시회, 지역발전 주간 - 참가한 사진
고려시대 남자 복식한국복식 이야기2012-09-14 01:09:44 6. 고려시대의 남자 복식 1. 고려의 복식 - 고려전기(송) : 사색공복제도개방 외교정책 - 고려후기(원) : 몽고복식과의 접근(호복계통) - 고려말기(명) : 친명정책( 2등 체강, 고려에 줌) 2. 왕복 - 제복: 면복은 제사를 지낼 때 착용. 후에 대례면복으로 됨 - 조복: 왕이 나라의 백관, 사, 민 접견 시 복장 - 오사고모, 담황색의 포, 늑건 * 고려후기 - 원의 질손 - 원 침략기 착용 * 고려말기 - 중국제의 원유관, 강사포 - 공복(公服) : 중국사신을 맞이할 때 - 상복(常服): 평상시 집무를 볼 때 - - 편복(便服): 일반서민과 같이 조건, 백저포 3. 백관복 -제복(祭服): 종묘사직의 제사를 지낼 때 (-조복 -공복 -상복)있다 4. 민서남복 :남자 민서복의 기본은 포,유,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