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왕복과 서민복한국복식 이야기2012-09-18 02:43:22
8. 조선시대의 서민복과 왕복 1) 왕복의 종류- 대례제복(면류관, 곤복), 조복(원유관, 강사포), 상복 (익선관, 곤룡포) 연거시(편복), 국난 시(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 [면복) 왕을 상징하는 십이장문/ 종묘, 사직 참례할 때, 제사 때 착용 면복 - 면복의 유래 ․후한대: 대례, 제복으로 완성 .전례의 상징, 선왕의 권위, 군왕의 표신 ․당대 이후: 주변 국가들이 제왕의 관복으로 인식 1. 면류관․ 상징-면류: 밝음을 가리기 위함- 귀 밝음을 막기 2. 곤복 - 십이장문(황제) 3. 조복 - 원유관, 강사포- 경축, 국관사관 회동 4. 상복 - 익선관, 곤룡포- 일상의 업무 때 5. 편복 - 국속의 저고리, 바지 및 포로서 답호, 철릭 등 착용 3) 조선시대의 서민복 * 서민 남자복..